[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우리는 모두 낮과 밤을 오가며 산다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원래 아침이 오기 전에 새벽이 가장 어두운 법이 잖아요
 그렇지만 이건 분명해요

"처음부터 환자인 사람은 없고
마지막까지 환자인 사람도 없어요"

어떻게 내내 밤만 있겠습니까?
곧 아침도 와요.

 

제작사: 필름몬스터 by SLL, (주)김종학프로덕션

제작진: 연출 이재규 / 김남수, 극본 이남규 / 오보현 / 김다희

출연진: 박보영, 연우진, 장동윤, 이정은, 장률, 이이담, 이상희, 박지연, 전배수

 

 

 

줄거리 & 인물소개

정신건강의학과 근무를 처음 하게 된 간호사 다은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그린 넷플릭스 시리즈 드라마다.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사.

 

명신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사다. 내과 3년차에 수간호사의 추천으로 정신병동으로 전과하게 된다.

정신병동에서 만나는 모든 환자에게 따뜻한 마음과 친절로 대하지만 그녀의 말과 행동으로 인해 크고 작은 문제들과 진정한 위로를 주면서 적응해나가는 인물이다.

 

항문외과 의사,

 

명신대병원 대장항문외과 펠로우 의사다. 무엇이든지 한번 꽂히면 포기를 모르는 집요함과 엉뚱함을 가지고 있다.

손가락 마디를 꺾는 강박증상을 가지고 있어 손가락이 굵어져 항문외과 진료에 걱정을 하는 인물이다.

다만 자신이 다은을 만날 때마다 강박 증상이 사라지는 것을 깨달으면서 그녀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다.

 

치킨집 배달부,

다은의 오래된 친구다. 명문대를 나오고 남들 다 부러워하는 대기업에 취직도 했었지만 현재는 부모님이 일하시는 치킨집에서 일하고 있다. 다은과 있을 때 밝고 명량한 모습이지만 그녀에게도 잘 다니던 대기업에서 갑자기 그만두게 되었는지 알려주지 않는다. 

 

 

드는 생각

개인적인 생각은 지금까지 나온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중에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이었다. 드라마의 온도가 나와 딱 맞다고해야할까? 그런 생각이 드는 드라마였다.

 

개인적으로 임상심리상담사 2급 자격증을 가지고 있고, 정신질환에 대한 공부를 한적이 있어서 조현병, 공황장애, 양극성장애 등 글로만 배웠던 내용들을 드라마 보면서 더 정확하고 피부에 와닿게 배울 수 있어서 좋기도 했다.

 

일단 기본적으로 스토리가 좋았다. 내과에서 일하던 간호사가 정신과에서 일하게 되는 시작부터 간호사의 큰 문제없는 호의와 그로인해 발생하는 문제들, 그리고 실제 사회 생활에서 만나게 되는 사람은 정말 착해서 환자들에게는 좋은 사람이지만 직장 동료의 입장에서는 불편한 존재인 그 상황으로부터 나와 좋았다. 그리고 주인공 모두 우울증, 강박장애, 공황장애 등 실질적인 정신질환을 가진 인물들이 의사, 간호사, 대기업 회사원 등 주변인이 아닌 본인의 이야기로 만들어 졌다는 점도 좋았다. 

또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간호사가 정신질환을 겪은 인물, 이러한 간호사를 대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태도와 사회에서 보여주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간접적으로 현실에서 우리가 어떻게 환자들을 대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것도 좋았다.

마지막부분에 박보영을 보고서 간호사를 그만두고 다른 일을 찾는 간호사의 모습에서도 스토리가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이어졌다고 생각한다.

 

연기 역시 너무 좋았다. 수간호사를 연기한 이정은님은 항상 좋은 연기를 보여주시고, 연우진님 역시 본인의 캐릭터의 매력을 너무 잘 살린 것 같았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이번 드라마에서는 박보영님의 연기가 참 좋았다고 생각한다. 일명 뽀블리의 매력과 동시에 환자들을 볼 때 드는 양가감정, 우울증을 대하는 태도와 힘든 상황 속에서 보여주는 꿎꿎함까지 다양한 모습을 설득력있고 공감되면서 응원까지 해주고 싶게 정말 좋았다.

그리고 박보영이 맡은 정다은이라는 캐릭터가 오로지 착하기만 한 인물이라기 보다는 일적으로 실수도 하며, 도덕적으로도 완전한 모습이 아니여서 현실적이고 입체적으로 다가와서 더 좋았다. 그저 착하기만 해 보여서 다른 주변인을 나쁘게 만들기 보다는 조금은 선하지만 그럼에도 아주 인간적인 면모를 동시에 지니고 있어서 좋았다. 그럼에도 너무 좋은 사람이라 느껴진건 박보영님의 캐릭터 소화력이 좋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연출면에서도 정신병을 다양한 방법으로 최대한 보는 사람들이 이 질병이 어떤 느낌일지 알 수 있도록 함께 공유하기 위해 신경 쓴 티가 났다. 겪어보지 않았기에 정확히는 모르지만 아 공황장애는 이런 느낌인거구나. 우울증은 이렇구나. 하는 아주 조금이라도 느껴볼 수 있었다.

 

그리고 드라마에 나오는 주연 말고 조연들 캐릭터도 비슷하면서도 다르고, 또 각각의 매력과 특징들을 골고루 잘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정신질환을 가진 자들을 보여주는 것은 물론 그들을 보살피는 보호자와 간호사 및 의사, 보호사님들 까지 정말 하나하나 살아있어서 좋았다. 

 

여기에 대사까지.. 오글거릴 수 있는 대사들까지도 너무 상황에 잘 녹아서 명대사처럼 들리는 드라마였다.

 

옛날에는 정신병이라는 게 마치 멘탈의 문제였다고 생각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세상을 조금 더 살아보고 임상심리에 대해 배우면서 꽤나 흔하고 모두가 어느 정도의 정신병을 가지고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드라마의 마지막에도 우리가 모두 경계와 비경계에 있다고 이야기하는 데 이는 그냥하는 말이 아닌 참인 명제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어떤 때는 정신을 놓은 사람?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선택한 행동이라는 것에 공감도 많아 하게 되고 오히려 저렇게 사는 인생이 더 행복할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한다. 사는 것 가체가 정신수양인.. 제정신으로 살기엔 세상이 좀 빡빡하다.

 

이제 너무나 뻔해서
얘기하는 사람조차 낡아보이는
희망이라는 것에 의지할 수밖에 없어진다.

그 뻔한 희망을 찾기위해
우리는 여기 있다.

 


모든 사진의 출처는 드라마 공식 홈페이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