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1947 보스톤
일장기 내려가고 그 자리에 뭐가 걸렸어?
성조기가 걸렸잖아,
그게 무슨 뜻이겠어?
장르: 드라마
감독: 강제규
출연: 하정우, 임시완, 배성우, 김상호
줄거리
“나라가 독립을 했으면 당연히 우리 기록도 독립이 되어야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세계 신기록을 세운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
기미가요가 울려 퍼지는 시상대에서 화분으로 가슴에 단 일장기를 가렸던 그는
하루아침에 민족의 영웅으로 떠올랐지만
일제의 탄압으로 더 이상 달릴 수 없게 된다.
광복 이후 1947년 서울,
제2의 손기정으로 촉망받는 ‘서윤복’에게 ‘손기정’이 나타나고
밑도 끝도 없이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나가자는 제안을 건넨다.
일본에 귀속된 베를린 올림픽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가슴에 새기고 달려 보자는 것!
운동화 한 켤레 살 돈도 없던 대한의 마라토너들은
미국 보스톤으로 잊을 수 없는 여정을 시작하는데…
드는 생각
1947년,
광복은 45년이지만 정부수립은 48년이다. 그 사이에 미군정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하지만 아직 나라도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시기에 조선의 독립을 알리겠다면 마라톤에 출전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영화는 처음 1936년 손기정이 일장기를 가리며 착잡한 모습을 보이는 금메달 수여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광복이후에 미국 보스턴 마라톤에 출전하는 이야기를 다룬 내용이다.
솔직히 내용 자체가 한편의 영화와 같다. 손기정이 일제 강점기때 금메달을 땄고, 그때 손기정이 미국선수에게 자신의 신발을 건내준다. 그 신발을 신고 우승을 한 선수가 보스턴에 출전할 수 있는 초청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렇게 출전 기회는 얻었지만 보증인이나 보증금을 만드는 것 역시 힘든 상황, 어렵게 출전한 대회에서는 남승룡 코치가 페이스 메이커가 되어준다든지, 개가 방해를 하는 장면은 오히려 너무 영화같아서 현실이 아니였다면 개연성의 문제나 억지 설정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법한 내용들이었다. 그만큼 소재 자체가 워낙 영화같고 좋았기 영화에서도 스토리에 너무 많은 것을 첨가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영화적으로 필요하여 각색되거나 첨가된 부분은 있겠지만 잘 짜여졌다고 생각한다.
여담이지만 정치나 사회문제를 다룬 영화에서는 실명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데 실존인물들의 이름이 그대로 사용되어서 보기에 더 좋았던 것 같다.
영화에서 "연기한 배우가 음주운전으로 인해.. 좀 그렇지만" 남승룡 선수 역시 꽤 큰 비중과 매력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고 동메달을 따서 영화 보기전에는 이름도 몰랐던 인물이지만 영화를 본 후에는 손기정이라는 상징적인 인물 이 외에 남승룡이나 서윤복 같은 인물들의 이름도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의미있는 영화라 생각한다.
사실 영화를 보면서 가장 크게 느껴지는 건 "나라 없는 국민들의 설움"과 "나라가 뭘 해줬다고 이렇게 독립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는가" 였다.
스스로 이룬 독립이 아니기에 분단은 물론 미군정의 시기를 겪어야 했다.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도 난민국이라는 이유로 보증인과 보증금이 당연하게 요구된다. 어렵게 참가하게 된 대회에서도 일장기를 달고 뛴 것이 부끄러워 태극기를 달고 달리기 위해 미국을 갔는데 그곳에서 내민 유니폼에는 미국의 성조기가 붙어 있다. 나라가 있다는 것이 강력한 나라의 국민이라는 것이 얼마나 든든한 것인지 생각함과 동시에 그 짧은 시간에 국격을 높여 놓은 선조들과 그 짧은 시간에 국격을 땅에 떨어뜨리고 있는 누군가가 떠올랐다.
처음 김상호 배우님이 등장했을 때는 약간 사기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잠시 들게 한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보고 있으면 그냥 평범한 자본주의의 시민처럼 보인다. 아마 지금의 시대 상황에 가장 평범한 모습이 김상호 배우님이 보여준 행동이지 않을까 싶다. 짧은 장면들이지만 그가 미국에 와서 당했을 수모와 피나는 노력이 그려지고 "돈"에 집착하는 모습도 당연해 보였다. 그리고 결국 조국에서 건너 온 사람들을 성심성의껏 돕는다. 그 배우 입에서 나라가 뭘 해줬냐고 말하는 장면에서 나는 틀린 말이 하나도 없다고 생각했다. "그깟 나라" 버려도 그만, "내가 있고 그 다음이 나라지" 완전 공감이 가는 말이었다. 그럼에도 영화를 보고나면 어디선가 나도모르게 애국심 같은 것이 내 안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영화를 보면 눈물까지는 아니여도 뭉클해지는 것은 사실이다. 영화가 그렇게 감정을 강요했다기 보다는 내 안에 있는지도 몰랐던 애국심 같은 것이 올라온다. 영화는 담백하고 담담한 사실을 보여주는데 그 사실 자체가 너무 감정을 파고 든다.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실화가 좋았던 영화다.
까놓고 나라가 당신들한테 해준 게 뭐가 있어요?
저자의 의견을 제외한 정보 및 사진의 출처는 Daum & NAVER 영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