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증명되지 않은 건 믿지 않는다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Movie] In Our Prime: I Don't Believe in Unproven

etc-image-0etc-image-1

문제가 안풀릴때는 화를 내거나 포기하는 대신에
야 이거이 문제가 참 어렵구나,
내일 아침에 다시 풀어봐야 겠구나 하는 여유로운 마음,

그것이 수학적 용기다.

그렇게 담담하게 꿋꿋하게 할 수 있는 놈들이
결국에는 수학을 잘 할수 있는 기다.

 

장르: 드라마

감독: 박동훈

출연: 최민식, 김동휘, 박병은, 박해준, 조윤서

 

 

줄거리

“정답보다 중요한 건 답을 찾는 과정이야”  

학문의 자유를 갈망하며 탈북한 천재 수학자 `이학성`(최민식).
그는 자신의 신분과 사연을 숨긴 채
상위 1%의 영재들이 모인 자사고의 경비원으로 살아간다.

차갑고 무뚝뚝한 표정으로 학생들의 기피 대상 1호인 `이학성`은
어느 날 자신의 정체를 알게 된 뒤 수학을 가르쳐 달라 조르는
수학을 포기한 고등학생 `한지우`(김동휘)를 만난다.

정답만을 찾는 세상에서 방황하던 `한지우`에게
올바른 풀이 과정을 찾아나가는 법을 가르치며
`이학성` 역시 뜻하지 않은 삶의 전환점을 맞게 된다.

 

etc-image-2etc-image-3
etc-image-4etc-image-5
etc-image-6etc-image-7

 

드는 생각

수학을 잘 하는 사람은 용기가 있다는 말에 공감했다.

 

수학을 잘하는 편은 아니었지만, 나름 이과생이었고, 공대에 진학했다. 모의고사에서 1등급도 받아보았고 잘하는 않았지만 수학을 공부하기 싫었던 적은 없었던 것 같다.

 

꽤나 수학을 좋아하는 편이었다.

 

수학을 잘하진 않았지만, 영화의 말을 빌리자면 나는 용기가 있는 편이었다.

어려운 문제를 만나면, 풀다가 안되면 내일 풀고, 안되면 또 다음에 풀고 그랬다.

과외나 학원을 다니지 않아 물어볼 사람이 학교 선생님과 친구뿐이어서 너무 자주 물어보는 것이 미안하고 눈치가 보여서 어쩔 수 없이 용기가 생겼던 것 같지만..

 

고등학교 때 수학문제를 물어보면 친절하게 알려주는 친구가 한명 생각이 난다.

가끔 그 친구의 풀이는 정답지의 해설과 달랐다.

때론 풀이가 길었고, 공식만 외워서 푸는 것이 아닌 논리대로 풀이하는 경우가 많았다.

 

암기를 싫어해서 대충 공식을 외웠다가 문제를 틀린 나에게 그 친구가 지나가면서 한 말이 기억에 남는다.

 

공식이 기억나지 않으면 다시 그 공식을 유도해서 기억해내면 된다.
그렇게 풀면 된다.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공식은 당연히 외우라고 있는 줄 알았다.

하지만 그 친구는 그 공식이 유도되는 과정을 온전히 이해하고 있었다.

 

그 친구는 학교 성적이 탑은 아니었다.

상위권이었지만, 반에서 10등 정도 했다. 모의고사에서도, 수능에서도 그 친구보다 좋은 성적을 거둔 애들은 많았다. 하지만 그 애는 카이스트를 갔고, 카이스트를 조기졸업했다는 것이 내가 아는 마지막 그 친구의 행적이다.

학사비리가 많은데 카이스트는 인재를 알아본다고 생각하기도 하다.

소위 천재라는 말을 들으면 내가 떠오르는 친구다.   

 

영화는 그런 추억이 떠오르는 영화였다.

물론 영화적으로 스토리가 몰입감이 좋거나, 개연성이 확 와닿은 것은 아니지만 수학을 좋아한 추억이 있는 사람이라면 즐겁게 볼만한 영화다.

 

영화에서는 북한에서 온 수학자로 수학, 학교 생활에 대한 문제, 남북관계 등 다양한 문제들을 조금씩 이야기했지만, 깊이감은 없어서 조금 아쉬웠다.

 

다만 수학을 표현하는 대사들은 좋았다고 생각한다.

수학의 아름다움을 들려주는 음악도 좋았다.

 

여전히 수학이 좋다면, 이 영화도 충분히 재미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틀린 답이 많지만, 풀이 과정이 옳다. 

 

d69def9a025a5bae268dd32a5418368b33c5f6d0.jpg


저자의 의견을 제외한 정보 및 사진의 출처는 Daum & NAVER 영화입니다.

스프랑게리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