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문경: 우리가 그렇게 대단해요? 누굴 살리고 죽일 만큼


[영화] 문경

etc-image-0etc-image-1

 

장르: 코미디

감독: 신동일

출연: 류아벨(문경) | 조재경(가은/명지) | 최수민(유랑할매) | 채서안(초월) | 김주아(유랑)

 

 

 

줄거리

“지금 어디쯤 가고 있나요?”

업무와 스트레스, 직장 내 인간관계에서 오는 과부하로 번아웃 증세를 겪는 ‘문경’. 

타고난 성실함과 뛰어난 아이디어로 전시회를 성공시켜도 정규직 전환이 어렵기만 한 ‘초월’. 

 

문경은 후배 초월을 지켜주지 못했다는 자책감에 초월의 고향이자 자신과 이름이 같은 문경으로 휴가를 떠난다. 그곳에서 첫 만행을 시작한 비구니 스님 ‘가은’과 강아지 ‘길순’을 만나고, 반려견을 잃어버린 ‘유랑 할매’의 집에 머물게 된다. 그날 밤 그들은 각자가 가진 사연을 공유하면서, 공유만으로도 서로를 이해하고 위로하는 시간을 보낸다. 이제 각자의 길을 나서야 하는 시간, 길순의 보호자를 정하기 위해 세 여자가 마당에 섰다. 하지만 결정권을 갖게 된 길순은 의외의 선택을 하는데...

 

etc-image-2etc-image-3

 

드는 생각

좋은 것들이 많은 영화였다.

이런말로 시작을 하기 조금 그렇지만 일단 등장하는 배우들의 비주얼이 좋았다. 영화를 보는 동안 보여지는 배우들이 외적인 매력에 기분이 좋았다. 그 다음 초월이라는 지명이 좋았다. 딱 그곳은 아니지만 옆동네에 살았다. 그리고 비구니와 보살로 지낸던 등장인물 역시 개인적으로는 반가웠다.

문경이라는 장소가 주는 편안함도 좋았다. 그 안에서 강아지를 만나고 비구니를 만나고 또 어떤 아주머니 집에 가게 되고 그곳에서 만드는 음식장면이나 노래가 좋았다.

etc-image-4etc-image-5
etc-image-6etc-image-7

불편한 감정을 잡아내는 포인트가 좋았다.

굳이 직원이 2명이라면서 계약직원을 없는 사람 취급하는 부분이나 직원이 3명인 부서에서 보여지는 묘한 기류도 꽤 리얼한 불편이어서 좋았다. 물어 놓고 대답도 듣지 않는 상사나 병뚜껑을 만지작 거리면서 보여주는 심리적 불안감이 좋았다.

그리고 문경을 가서도 비구니의 손목을 잡은 남자와 그 손목의 상처의 불편함도 좋았다. 영화는 이런 불편함을 잘 담고 있어서 좋았다.

솔직히 회사에서 계약직을 대하는 자세에 상처 받아 눈물 흘리는 초원보다 그 계약직에 자그마한 선의라도 보이고자 했던 문경의 태도와 마음이 더 좋게 느껴졌다.

etc-image-8etc-image-9
thn_6018c59817514d758388abc34389deaa.jpg

초원과 문경 그리고 명지

초원은 능력도 있고 열정은 있지만 아직 안정적인 직장을 구하지 못했다. 계약직이라는 위치에서 받아들여져야 하는 부당해 보이는 상황에 불쌍함은 느꼈지만 그에 대해 보이는 초원의 꽂꽂한 태도가 조금은 덜 불쌍하게 느껴졌다. 솔직히 능력과 노력에 비해 더 낮은 위치에 있는 자신과 능력도 없고 방해만 되어 보이는 하원에게 어떻게 행동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영화를 보면서 초원.. 아마 현실에서 봤다면 조금 싸한 느낌이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만 너무 과하게 느낀 것인지 아니면 일부러 그런 연기를 한 것인지 조금 궁금하다.

여튼 내가 느낀 초원은 응원해주고 싶지만 피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었다.

 

문경은 아직 자신의 마음에 많은 것을 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슬픔을 다 지워내지도 그렇다고 이겨내지도 못했다. 옳은 것과 정도를 잘 알고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며 살아가는 모습에 존경심도 들지만 그 올바른 것에 조심스럽고 강단있는 행동에 뭔가 짠한 느낌도 든다. 현실에서 만나면 가장 함께하고 싶은 하지만 만날 수 없는 사람처럼 느껴졌다.

 

명지는 이미 세상의 아픔에 한발 더 나아간 사람처럼 느껴졌다. 비구니라는 신분에 맞게 어딘가 하나의 세계를 넘어선 넘어선 느낌이다. 자신의 아픔을 다스리면서 때로는 천진한 아이 같기도 또 때로는 담담한 어른스러운 모습이 공존해 보인다. 세상을 살면서 다른 세상의 삶을 살게 한 결심과 상황이 그 사람의 깊은 내면을 짐작하게 해준다.

 

이 영화는 무엇보다 캐릭터들이 좋았다. 비주얼이 좋고 그 사람마다 느껴지는 분위기가 달라서 좋았다.

 

뭔가가 절실한 사람한테
무심한 것도 폭력이에요.

잘해주지 않아도 따뜻한 눈빛만으로도 위로가 될 수 있는데
그게 뭐라고 그렇게 인색할까요?

 

thn_6c603f73ebc44fb4aa89e60fcf330464.jpg


저자의 의견을 제외한 정보 및 사진의 출처는영화진흥위원회입니다.

스프랑게리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