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택시운전사
아빠가 손님을 두고 왔어
아빠 택시에 꼭 태워 줘야 되는 손님인데
그 손님만 태워주고 금방갈게
장르: 드라마
감독: 장훈
출연: 송강호, 토마스 크레취만, 유해진, 류준열
줄거리
1980년 5월, 서울 택시운전사. “광주? 돈 워리, 돈 워리! 아이 베스트 드라이버”
택시운전사 만섭(송강호)은 외국손님을 태우고 광주에 갔다 통금 전에 돌아오면
밀린 월세를 갚을 수 있는 거금 10만원을 준다는 말에
독일기자 피터(토마스 크레취만)를 태우고 영문도 모른 채 길을 나선다.
광주 그리고 사람들. “모르겄어라, 우덜도 우덜한테 와 그라는지…”
어떻게든 택시비를 받아야 하는 만섭의 기지로 검문을 뚫고 겨우 들어선 광주.
위험하니 서울로 돌아가자는 만섭의 만류에도
피터는 대학생 재식(류준열)과 황기사(유해진)의 도움 속에 촬영을 시작한다.
그러나 상황은 점점 심각해지고 만섭은 집에 혼자 있을 딸 걱정에 점점 초조해지는데…
드는 생각
외국인 기자의 눈으로 보여 주는 광주민주화운동
어쩌면 가장 객관적인 시각을 가진 존재다. 제 3자로서 사건을 보고 알려준다. 어떤 국민의 정서를 떠나서 사람의 눈으로 본다면 절대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한국의 언론은 이미 통제되었고 보복이 두려워 배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인류의 평화와 정의를 위해 기자정신을 가지고 목숨걸고 취재하고 이를 알려준 외신 기자가 있어 세계에 진실을 알릴 수 있었다. 여전히 내전이나 독재정권의 만행을 알리는 기자들의 활약이 이어지고 있다. 가끔은 그들이 알려준 한 장의 사진이 세상의 마음을 움직이기도 한다.
광주사람들이 마주한 끔찍한 현실
당연히 자국민을 보호하고 지켜야할 의무가 있는 군인이 민간인을 상대로 총을 겨누는 것 만으로도 도를 넘은 것인데 발포하고 사살하는 일이 벌어졌다. 1980년 대한민국에서 끔찍한 일이 벌어졌다. 그리 오래되지 않은 과거이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우리나라 역사 중 가장 문제가 있는 사건이라 생각한다. 국가가 국민을 상대로 할 수 없는 일이며, 전두환이 역대 대통령을 했던 사람 중 가장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다. 우리나라의 민주주의가 그저 공짜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기억해야 한다.
그 때 당시 대학생이었던 20대가 여전히 60대로 현재의 대한민국을 살아가고 있다. 이를 그저 특정 지역의 시민이 우연히 겪은 불행한 일이 아닌 대한민국 정부가 저지른 만행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 어떤 정부도 국민을 상대로 총을 겨눌 수 없다. 국민이 정부에게 주는 것이 정당성이다. 반대한다고 그들을 처벌할 수 있는 권한은 정부에게 없다.
영화의 중간에 류준열이 보여준 역할 때문에 영화가 더 진실되게 다가왔다. 대학가요제에 나갈 생각이라며, 탄압을 받는 와중에도 저녁을 먹고나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기도 한다. 하지만 결국 그에게 대학가요제는 허락되지 않는다. 영화는 이러한 끔찍한 상황 속에서도 평범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의 모습이 섞여 있다. 이러한 모습이 더 참혹함을 드러내게 한다고 생각했다.
서울 사람, 보통 사람, 택시운전사
처음 등장하는 송강호의 모습에서 그때 같은 대한민국에서 다른 일상이 펼쳐졌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택시를 운전하며서 노래를 흥얼거린다. 젊은이들의 나태함을 지적하며 사우디에서 외화를 벌러 나갔다왔던 자신의 과거를 계속해서 이야기한다. 배부르고 등따시니 데모를 한다는 생각을 한다. 서울은 평화로운 일상이 펼쳐졌지만 광주는 최류탄의 연기가 자욱했다.
처음 광주를 가는 것도 그저 돈을 벌기 위함이다. 그리고 군인들이 막아 서고 있고 광주의 실상을 처음 마주했을 때 도망가는 선택을 한다. 지극히 당연하고 평범한 사람의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끔찍한 참상 앞에서 결국 그는 진실을 알리기 위해 목숨을 거는 사람으로 변화된다. 자신의 밥그릇을 걱정하면서 살고 돈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면서 사는 것 같지만 결국 도를 넘는 악 앞에서는 모른척할 수 없는 존재가 된다. 이러한 보통 사람으로 살다가 변화하는 시민 영웅의 존재가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외신 기자의 언론 보도가 진실을 알렸지만 그를 태운 택시운전사, 그를 모른척해준 군인, 그를 어떻게는 살리려 했던 광주 시민들.
위기의 상황에서 용감한 시민으로 변모하는 보통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대한민국이다.
간절히 보고 싶은 한 명의 친구가 있습니다.
나의 용감한 친구 김사복입니다.
그는 택시운전사입니다.
저자의 의견을 제외한 정보 및 사진의 출처는 Daum & NAVER 영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