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대군의 이야기다.
세종이 죽고 수양대군의 형인 문종이 즉위하였다. 하지만 문종이 병에 들어 일찍 죽게 되고 문종의 아들인 어린 단종이 왕위에 오르게 된다. 영화 '관상'은 세조의 반정 과정을 관상이라는 역학과 엮어서 만든 영화다.
물론 실제 역사와는 거리가 있지만 꽤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다.
연산군의 이야기다.
연산군은 어릴 때는 총명했다는 기록들이 많다. 이 영화는 이미 향락과 사치에 빠져 폭군이 된 연산군과 그런 연산군을 비판하면서 저젓거리에서 광대놀이를 하는 남사당 패거리를 소재로한 영화다.
이준기로 대표되는 예쁜 남자 신드롬을 일으킬 만큼 크게 흥행했으며 개인적으로 아주 추천하는 작품이다.
선조대의 임진왜란을 다룬 영화다.
임진왜란은 이순신이 다했다고 할 정도로 활약이 뛰어났다. 다행히 영화에서도 다뤘듯 이순신 한 명의 장수에게만 집중하는 것이 아닌 당시 전쟁을 위해 희생 된 수많은 사람들의 모습도 담겨있다.
물론 임진왜란의 첫 승리도 이순신 가장 큰 전과인 한산도 대첩과 전설로 남은 명량해전 그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까지 대한민국이 침략을 당한 역사의 순간이지만 보고 나면 국뽕이 차오르는 영화다.
광해군을 다룬 영화이다.
광해군은 역사에서는 중립외교, 대동법으로 역사책에서 배운다. 임진왜란 당시 도망가는 선조를 대신해서 전쟁에 참여하여 실제 활약하고, 즉위 후 허준을 통해 동의보감을 편찬하는 등 꽤 평가가 좋았다. 다만 그의 마지막은 폐모살제로 왕의 시호도 받지 못했다. 물론 승자들의 기록이 남는 것이기에 광해가 재평가 받게 되며 영화에서는 성군으로 그려진다.
영화 자체는 닮은 인물을 찾아 대역을 삼는다는 픽션으로 전개되지만 실제 대동법이나 중립외교 등의 실제 역사에 관한 기록에 대한 고증이 잘 된 영화다.
*여담이지만 광해는 시간이 흐를수록 재평가 되는 왕이다. 조선시대는 성리학의 나라로 대의 명분이 중요했다. 하지만 지금의 외교는 실리를 가장 중시한다. 광해는 실리를 따랐던 왕이다. 그 때 당시에는 명나라와 금나라 사이의 상황, 지금은 미국과 중국 사이의 상황이다.
또한 대동법은 조선시대에 시행된 법 중 양반에게 손해 일반 백성에게는 이득이 되는 법이었다. 이 법이 실제 전국에서 시행되기 까지는 100년이 걸렸다. 그때나 지금이나 대다수의 이득보다는 소수 기득권이 이득을 보는 세상이다.
세도정치 당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영화 명당은 풍수지리라는 역학을 조선 헌종 때와 흥선의 이야기를 엮어 만든 영화이다.
당연히 픽션이 가미 된 영화지만 실제 역사에 대한 큰 줄기와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어 우리나라의 흐름을 풀어냈다.
일제강점기, 크게 보면 전세계의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 중 가장 큰 역사적 사건이 3.1운동이다.
이 3.1운동에 참여하고 그로인해 고통받고 죽어야만 했던 유관순에 대한 영화다.
영화 자체는 3.1 운동 이후에서 유관순의 죽음까지 다룬 영화다.
우리는 3.1운동 자체를 기억하지만 실제론 그 운동 이후 국민들이 받아야 했던 핍박과 고통을 기억해야 한다.
3.1 운동 이후 처음으로 전과라고 불린만한 성과를 올린 봉오동전투를 다룬 영화다.
3.1 운동 이전에는 소극적인 저항이 주를 이루었다면 이후에는 국민들의 저항의식을 확인하고 의거활동과 전투가 활발하게 일어났다. 그 첫번째 전투가 봉오동 전투다.
영화가 보여주었듯 우리는 봉오동 전투는 홍범도, 이런 식의 답을 맞추기 위한 역사를 배우지만 영화를 통해서 이름 없는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당하고 노력했는지 알 수 있다.
일제감정기 시인이라는 꿈을 꾼다는 것 자체가 사치였고, 부끄러워 했던 시기.
일제감정이라는 시대 상황으로 시가 쉽게 써지는 것에 부끄러워했던 청년 동주
또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몽규라는 인물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그 시절을 살아야했던 청년의 이야기를 볼 수 있다.
독립운동가에서 일본의 밀정이 된 염석진의 이야기가 모티브가 되었다.
1933년 독립을 위한 의거활동이 주를 이루던 시기이다. 조선을 탄압하던 일본 간부와 친일 세력들을 독립운동가들이 암살을 하면서 맞선다.
영화 암살은 어떤 특정한 위대한 인물을 내세우기 보다는 수많은 독립에 이바지했던 사람들이 있음을 알려준다. 의거를 하러가기 전 찍었던 사진속에서 그들은 웃고 있다. 독립운동가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이해해 볼 수 있어 좋았다.